top of page
39.png
10.png
14.png
9.png
1.png
4.png
8.png
6.png

[고등학교]

高等學校

[ 백두대간 도술 고등학교]

1.소개

2.시설

3.입학 안내

4.기숙사

4-1.기숙사 공통 도술

     4-2. 기숙사 별 계열 도술

40.png
소개

▶ 소개

 

 1400년대에 백두산 천지 호수 근처에 설립된 백두서당의 유지를 이어받는 도술계 제일의 도사양성기관. 줄여서 백도고.

100%기숙사제로 운영된다. 초대 교장이자 설립자인 도운 불도어(道雲 佛徒於) 선생부터 시작해 여러 이름 난 도사들이 학생들을 가르치고있다. 학교는 사신수의 성질을 타고 태어난 학생도사들을 뽑아 약관(弱冠)이 되기 전까지 그 능력을 향상 시켜준다.

한중일의 학생도사들이 모두 있으나 한국 학생도사들이 그 중 가장 많으며 공용어는 한국어이다.

학교의 상징은 백두산, 교화는 무궁화, 교목은 소나무이다.

 

▶ 시설

 은신 도술이 걸려있어 학교 밖의 비(非)도사들에게는 학교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학교의 중앙에는 수업을 들을 수 있는 명륜당, 서적이 모여있는 존경각, 식사를 할 수 있는 식관이 있다.

학교의 가장자리는 모두 기숙사인데 동재, 서재, 남재, 북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 청룡, 백호, 주작, 현무 기숙사 학생들이 기거한다.

40.png

▶ 입학 안내

 

 매가 입학 서신을 나르는 것이 보통이었으나 시대가 바뀌면서 잠깐 이메일 송신으로 그 방법이 바뀌었던 적이 있다.

하지만 스팸 휴지통에 입학 안내문이 들어가 학생도사들이 입학 때를 놓치거나 오지 않는 경우가 너무 빈번하게 일어나

다시 예전의 방식으로 돌아왔다. 인간세계의 도사들에게는 매를 참새로 바꾸어 입학 서신을 받도록 하고 있다. 

입학 서신을 받은 신입생들은 종이, 붓, 먹, 벼루의 문방사우를 사야한다. 붓의 경우 신물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간세계의 보통 붓을 구입해서는 안된다.(학생도사의 신물은 모두 붓이다)

대부분의 학생은 반촌거리에 있는 ‘박오리의 붓 가게’에서 구입한다. 

학교로 가기 위해서는 지하철을 타야하는데 서울지하철 홍대입구역 9번 출구의 벽으로 뛰어들면 된다.

그러면 9와 4분의 3 플랫폼에 들어갈 수 있다.  

9와 4분의 3 플랫폼에서 백두대간도술고등학교로 곧장 가는 지하철을 탈 수도 있지만, 플

랫폼을 나오면 그 앞 길이 곧장 도술계의 반촌거리와 연결되어있다. 백두대간도술고등학교에서 필요한 물품은 거의 모두

반촌거리의 시장에서 판매하기 때문에 개학이 다가오면 그 거리는 언제나 문전성시를 이룬다.

9와 4분의 3플랫폼에서 지하철을 타면 백도역에 정차한다. 역에서 내리면 구름을 타고 백두산 천지에 있는 학교 정문까지 갈 수 있다.

40.png
입학안내
55.png

Dormitory

[기숙사]

총 4개의 기숙사로 이루어져있다. 주작, 청룡, 백호, 현무이며 각 기숙사 학생들은 사신수의 힘에 따라 계열 도술을 쓴다. 

청룡 기숙사의 경우, 나무(木)성질의 날씨계열 도술을 담당한다. 상징은 매화이다.

주작 기숙사의 경우, 불(火)성질의 계열 도술을 담당한다. 상징은 난초이다.

백호 기숙사의 경우, 쇠(金)성질의 계열 도술을 담당한다. 상징은 국화이다.

현무 기숙사의 경우, 물(水)성질의 계열 도술을 담당한다. 상징은 대나무이다. 

 

▶ 기숙사 공통 도술

◈ 방술 (구체적 설명 링크

방술은 도사의 기본이 되는 도술로서, 도력이 덧입혀진 부적 종이 위에 신물인 붓을 사용하여 한자를 적고

주문을 외치면 도술이 발동되는 원리이다. 때문에 기초한자 공부가 필수로 행해진다.

생활에 쓰는 도술 또는 기본적인 계열 도술들을 사용할 수 있다.

도술의 지속 시간은 학생도사 기준 2초~15초 정도이며 한 번 사용한 부적은 다시 사용할 수 없다.

(ex - 불 화 火 부적 : 부적이 타올라 5초 후 꺼진다)

 

1학년 사용가능 방술 한자 

: 물 수 水 , 움직일 동 動, 꽃 화花, 빛 광光, 힘 력力, 바람 풍風

 

2학년 사용가능 방술 한자

: 불 화 火, 베낄 사寫 , 우뢰 뇌雷, 더할 증增, 전할 전 傳(음성전달)

 

3학년 사용가능 방술 한자

: 높이날 상翔, 새길 각刻, 살필 심審, 잡을 포捕

▶ 기숙사 별 계열 도술

※ 3학년 계열도술의 경우, 기술된 도술들 중 2개 이상 능숙하다는 설정은 소합요소에 들어갑니다.

 

◈ 현무

[1학년]

1. 물을 소환하는 도술. 숙련도에 따라 소환해낼 수 있는 양과 속도가 달라진다.

2. 물을 조종하는 도술. 근처에 물의 출처가 있으면 소환보다 간단하다.

3. 물 위를 걸을 수 있게 하는 도술. 현무 계열의 도사라면 상당히 간단한 편.

4. 물을 감지하는 도술. 근처, 또는 땅밑 물길을 찾아낼 수 있다. 현무 계열의 도사라면 상당히 간단한 편.

[2학년]

5. 물 속에서 숨을 쉴 수 있게 하는 도술. 숙련도에 따라 지속시간이 달라진다.

6. 물로 원하는 형태를 만드는 도술. 단순히 물을 소환하는 것이 아니라 물로 이루어진 사물이나 모형 등을 만들어낼 수 있다.

    (ex. 화살, 창, 방패, 등, 또는 폭포를 가르는 식으로도 응용 가능) 숙련도에 따라 유지 시간과 양, 강도 등이 달라진다.

7. 귀신을 감지하는 도술. 숙련도에 따라 존재만 감지할 수도, 또는 보거나 소통할 수도 있다. 자신과 연이 깊은 유령일수록 

    더욱 쉽게 보고 들을 수 있다. 자신과 전혀 무관한 인물이라면 타고난 음기 없이는 감지하기 어렵다.

   (거의 모든 유령을 감지할 수 있는 정도의 음기는 소합)

[3학년]

8. 물로 이루어진 공간을 만드는 도술. 감옥이나 금고과도 같은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높은 숙련도를 요한다.

    (3학년 우등생 기준 성인 남성 크기)

9. 물을 정화, 또는 오염시키는 도술. 충분한 능력이 있다면 구정물도 식수로 만들 수 있다.

10. 허상을 진짜처럼 보이게 만드는 환술. 20cm내외의 물체를 꾸며낼 수 있다. 

      높은 숙련도와 영향받는 대상의 허술함에 따라 환시와 더불어 환청, 환후, 환미,

      환지 (시간, 후각, 미각, 촉각의 착각) 또한 함께 일으킬 수 있다.

11.안개를 만들어 몸을 가릴 수 있다. (3학년 기준 3.33제곱미터)

12. 죽음을 보는 도술. 도술을 사용한 상대와 밀접한 죽음의 시간, 또는 경위를 느낄 수 있다.

      충분한 숙련으로 근접한 죽음을 감지할 정도까지는 다가갈 수 있으나 그 이상의 도술은 타고난 감각 없이는 불가능에 가깝다. (소합)

 

◈ 백호

[1학년]

1. 신체를 제한적으로 경화시키는 도술. 손바닥, 팔꿈치, 다리 등처럼 좁은 부위를 부분적으로만 단단하게 만들 수 있고 지속 시간이 짧다.

    (평균 5~10분). 한번에 여러 부위를 경화 시킬 수 없다.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오른팔, 왼쪽다리 등과 같이 꽤 넓은 부위를 경화시킬 수 있다.      경화 상태를 지속시키는 데에는 꽤 집중력이 필요한 편. 경도 6.0.~8.0.

2. 바람을 조종하는 도술. 가볍게 불어오는 정도의 바람을 다룰 수 있다.

3. 행동에 가속을 붙이는 도술. 백호 계열의 도사라면 기본적으로 다룰 수 있는 도술이다.

    비도사가 봤을 때 굉장히 빠르다고 느낄 정도의 속도.

4. 신체 무게를 가볍게 만들거나 무겁게 만드는 도술.

[2학년]

5. 바람을 타고 날아다니는 도술.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는 없으며 허공에 잠시 날아올라 머물러 있거나

    낙하 시에 땅으로 떨어져 충격을 받는 것을 막을 수 있다.

6. 바람을 압축하여 충격을 줄 정도의 강풍으로 만드는 도술. 숙련도에 따라 원하는 형태로 만들어 날카롭게 만든다면

    무언가를 베어낼 수도 있다.

7. 비도사가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없는 정도의 속도로 가속을 낼 수 있다.

[3학년]

8. 신체 전체를 경화시키는 도술. 지속 시간이 길고 경도가 높다. 일반적인 물리적 공격으로는 피해를 줄 수 없을 정도로 단단해진다.

9. 바람을 자유롭게 조종하여 허공에서 자유롭게 날아다닐 수 있다.

10. 신체에 날카로운 바람을 두를 수 있다. 상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아도 근거리에서는 타격을 줄 수 있다.

11. 손에 닿아 있는 다른 물체를 경화시키거나 닿은 물건을 일정 시간 단단하게 지속되게 만드는 도술.

      살아있는 것에는 함부로 사용하지 못하게 주의한다.(소합)

 12. 상대의 주변 기압을 높여서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도술.(소합)

◈ 주작

[1학년]

1. 불길에 상처입지 않는 도술. 어느 정도로 익혔는 지에 따라 불에 대한 저항력이 다르다. 주작계열의 도사라면 열에 강하다.

    (자신이 일으킨 불에는 높은 저항력)

2. 손에서 붉은 불꽃을 일으킨다. 단순히 발화하는 정도로 형태를 부여하거나 조종할 수는 없다. 신체에서 불을 떼어낼 수 없다.

3. 자신이 건드린 일정한 범위에 작은 폭발을 일으킨다. 마찰을 이용해 발생하는 불꽃의 세기를 키우는 것.

    막대 불꽃 수준이며 맞으면 따끔하다.

4. 주위의 열을 높여 온도를 훈훈하게 만들 수 있다.

[2학년]

5. 불을 자유자재로 다룬다. 불을 조종하거나 움직이는 등의 활동을 할 수 있다. 

6. 불에 형태를 부여하는 도술. 불로 이루어진 활과 화살, 창 등을 만들거나 불로 된 벽을 치는 등 원하는 모양을 구현할 수 있다.

    고체로 된 물건을 만지듯 타오르는 불꽃의 일부를 떼어낼 수도 있다. 불을 다루는 법에 숙련되어야만 가능하다. 

7. 시야에 닿는 일정한 장소에 불꽃과 폭발을 일으킨다. 소규모에 한해 시도할 수 있으며 한 번에 크게 발화하거나 폭발하게 할 수 없다. 

8. 불의 세기를 조절하는 도술. 자신의 불꽃 외에 일어난 모든 불을 다룰 수 있다. 불의 범위를 줄이거나 늘리고,

    불길을 없애거나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온도 조절 시 색상 변화: 붉은색-황색-백색-청색) → 백색부터는 다루기가 어렵고 술사도 불길에 휘말릴 가능성이 커

    사용하는 사람이 극히 적다. (소합) 

[3학년]

9. 원하는 장소에 불씨를 심어두고 일정 조건이 달성되었을 때 폭발시키는 도술. 시야에 닿지 않아도 조건만 달성한다면 폭발 가능하다.

    지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10. 지면에 불길을 피워올리는 도술. 손으로 그은 획만큼의 범위에서 불길을 피워올린다. 숙련될수록 길고 먼 곳까지 불을 피울 수 있다.

      (3학년 우등생 기준 3m)

11. 자신의 주변을 불꽃으로 감싼다. 화염으로 인한 피해가 없는 불꽃이며 다른 곳으로 번지지 않는다. 오직 자기 보호의 역할만을 한다.

      이 불꽃에 닿으면 상대는 통각을 직접 자극받는다.

12. 형태를 부여함과 동시에 자아를 부여하여 불로 된 새를 만들어낸다. 술사의 지시대로 행동하며 술사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 청룡

[1학년]

1. 주먹 크기의 구름을 만드는 도술. 만드는 것만 가능하며 그 이외의 것은 불가능하다. 손 위에 둥둥 띄워놓는다.

    구름 조각은 물 먹은 솜의 감촉이며 손으로 만질 수 있다.

2. 구름을 통해 비를 내리게 하는 도술. 효과는 분무기로 물 뿌리는 정도.

3. 물을 조종하는 도술. 현무의 수업과 비슷하지만 살짝 다르다. 원하는 곳으로 흐르게 하는 수준이다.

4. 정전기를 일으키는 도술. 조금 따끔한 정도.

5. 씨앗의 싹을 틔우는 도술. 1학년 도술이지만 조금 어려운 편에 속한다.

 

[2학년]

6. 얼굴 크기의 구름을 만드는 도술. 구름의 크기를 조절하는 연습도 함께 한다.

7. 구름을 통해 더 많은 양의 비를 내리게 하는 도술. 한 사람이 쫄딱 젖을 분량의 비를 내리게 할 수 있다. 

8. 비를 눈 또는 우박으로 바꾸는 도술. 온도를 내려 결정을 만든다.

9. 감전 당하지 않는 도술. 도력을 둘러 온몸을 보호함과 동시에 번개내성이 생긴다.

10. 손 안에서 우뢰를 창 형태로 만들어 던지는 도술. 원하는 지점에 던지기 위해서는 무던히 노력해야 한다.

     (우뢰의 크기는 2학년 기준 15~20cm)

 

[3학년]

11. 주먹 크기의 여의주를 만드는 도술. 3학년이면 누구나 가능해야한다. 여의주를 이용하여 반경 1m 이내의 날씨를 변화시키는데,

      도력이 강할수록 그 범위가 넓어진다. (3학년 우등생 기준 반경 3m 이내)

12. 여의주를 사용하는 도술. 원하는 곳에 구름을 만든 뒤 사용한다.

  • 위에서 아래로 대상을 향해 번개를 내려친다.

  • 대상을 향해 주먹크기의 우박비를 내리게 한다.

13. 얼음을 원하는 형태로 만드는 도술. (칼, 방패, 창, 화살 등)

 

기숙사
59.png
56.png
57.png
60.png
58.png
00:00 / 06:58
bottom of page